MS 2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
페이지 정보
작성자 세종엠에스피 작성일20-02-12 10:56 조회16,815회관련링크
본문
□ 2월 보안업데이트 개요(총 11종) o 등급 : 긴급(Critical) 5종, 중요(Important) 6종 o 발표일 : 2020.02.12.(수) o 업데이트 내용 
 
 o 참고사이트 - 한글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ko-kr/security-guidance - 영문 : https://portal.msrc.microsoft.com/en-us/security-guidance 
 
 
 
 
 
 1. Windows 10 v1909, v1903, v1809, v1803, v1709, v1607 보안 업데이트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655, CVE-2020-0662, CVE-2020-0681, CVE-2020-0708, CVE-2020-0710, CVE-2020-0711, CVE-2020-0712, CVE-2020-0713, CVE-2020-0729, CVE-2020-0734, CVE-2020-0738, CVE-2020-0767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20-0657, CVE-2020-0659, CVE-2020-0663, CVE-2020-0665, CVE-2020-0666, CVE-2020-0667, CVE-2020-0668, CVE-2020-0669, CVE-2020-0670, CVE-2020-0671, CVE-2020-0672, CVE-2020-0678, CVE-2020-0679, CVE-2020-0680, CVE-2020-0682, CVE-2020-0683, CVE-2020-0685, CVE-2020-0686, CVE-2020-0691, CVE-2020-0701, CVE-2020-0703, CVE-2020-0704, CVE-2020-0707, CVE-2020-0709, CVE-2020-0715, CVE-2020-0719, CVE-2020-0720, CVE-2020-0721, CVE-2020-0722, CVE-2020-0723, CVE-2020-0724, CVE-2020-0725, CVE-2020-0726, CVE-2020-0727, CVE-2020-0730, CVE-2020-0731, CVE-2020-0732, CVE-2020-0735, CVE-2020-0737, CVE-2020-0739, CVE-2020-0740, CVE-2020-0741, CVE-2020-0742, CVE-2020-0743, CVE-2020-0745, CVE-2020-0747, CVE-2020-0749, CVE-2020-0750, CVE-2020-0752, CVE-2020-0753, CVE-2020-0754, CVE-2020-0757, CVE-2020-0792, CVE-2020-0817, CVE-2020-0818)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20-0660, CVE-2020-0661, CVE-2020-0751)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20-0689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20-0658, CVE-2020-0675, CVE-2020-0676, CVE-2020-0677, CVE-2020-0698, CVE-2020-0705, CVE-2020-0706, CVE-2020-0714, CVE-2020-0716, CVE-2020-0717, CVE-2020-0728, CVE-2020-0744, CVE-2020-0746, CVE-2020-0748, CVE-2020-0755, CVE-2020-0756) 
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
 o 중요도 : 긴급 
 o 관련 KB번호 - 4502496, 4524244, 4532691, 4532693, 4537762, 4537764, 4537776, 4537789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
 
 
 2. Windows Server 2019, Windows Server 2016, Server Core 설치(2019, 2016, v1909, v1903, v1803) 보안 업데이트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655, CVE-2020-0662, CVE-2020-0681, CVE-2020-0708, CVE-2020-0710, CVE-2020-0711, CVE-2020-0712, CVE-2020-0713, CVE-2020-0729, CVE-2020-0734, CVE-2020-0738, CVE-2020-0767, CVE-2020-0817, CVE-2020-0818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20-0657, CVE-2020-0659, CVE-2020-0663, CVE-2020-0665, CVE-2020-0666, CVE-2020-0667, CVE-2020-0668, CVE-2020-0669, CVE-2020-0670, CVE-2020-0671, CVE-2020-0672, CVE-2020-0678, CVE-2020-0679, CVE-2020-0680, CVE-2020-0682, CVE-2020-0683, CVE-2020-0685, CVE-2020-0686, CVE-2020-0691, CVE-2020-0701, CVE-2020-0703, CVE-2020-0704, CVE-2020-0707, CVE-2020-0709, CVE-2020-0715, CVE-2020-0719, CVE-2020-0720, CVE-2020-0721, CVE-2020-0722, CVE-2020-0723, CVE-2020-0724, CVE-2020-0725, CVE-2020-0726, CVE-2020-0727, CVE-2020-0730, CVE-2020-0731, CVE-2020-0732, CVE-2020-0735, CVE-2020-0737, CVE-2020-0739, CVE-2020-0740, CVE-2020-0741, CVE-2020-0742, CVE-2020-0743, CVE-2020-0745, CVE-2020-0747, CVE-2020-0749, CVE-2020-0750, CVE-2020-0752, CVE-2020-0753, CVE-2020-0754, CVE-2020-0757, CVE-2020-0792)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20-0660, CVE-2020-0661, CVE-2020-0751)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20-0689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20-0658, CVE-2020-0675, CVE-2020-0676, CVE-2020-0677, CVE-2020-0698, CVE-2020-0705, CVE-2020-0706, CVE-2020-0714, CVE-2020-0716, CVE-2020-0717, CVE-2020-0728, CVE-2020-0744, CVE-2020-0746, CVE-2020-0748, CVE-2020-0755, CVE-2020-0756) 
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
 o 중요도 : 긴급 
 o 관련 KB번호 - 4524244, 4532691, 4532693, 4537762, 4537764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
 
 
 3. Windows 8.1, Windows Server 2012 R2,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655, CVE-2020-0662, CVE-2020-0681, CVE-2020-0708, CVE-2020-0729, CVE-2020-0734, CVE-2020-0738, CVE-2020-0817, CVE-2020-0818)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20-0657, CVE-2020-0665, CVE-2020-0666, CVE-2020-0667, CVE-2020-0668, CVE-2020-0678, CVE-2020-0679, CVE-2020-0680, CVE-2020-0682, CVE-2020-0683, CVE-2020-0686, CVE-2020-0691, CVE-2020-0703, CVE-2020-0707, CVE-2020-0715, CVE-2020-0719, CVE-2020-0720, CVE-2020-0721, CVE-2020-0722, CVE-2020-0723, CVE-2020-0724, CVE-2020-0725, CVE-2020-0726, CVE-2020-0730, CVE-2020-0731, CVE-2020-0735, CVE-2020-0737, CVE-2020-0745, CVE-2020-0752, CVE-2020-0753, CVE-2020-0754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20-0658, CVE-2020-0675, CVE-2020-0676, CVE-2020-0677, CVE-2020-0698, CVE-2020-0705, CVE-2020-0716, CVE-2020-0744, CVE-2020-0748, CVE-2020-0755, CVE-2020-0756) - 서비스거부 취약점(CVE-2020-0660) - 보안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20-0689) 
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
 o 중요도 : 긴급 
 o 관련 KB번호 - 4502496, 4537794, 4537803, 4537814, 4537821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
 
 
 4.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673, CVE-2020-0674) - 정보노출 취약점(CVE-2020-0706) 
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
 o 중요도 : 긴급 
 o 관련 KB번호 - 4532691, 4532693, 4537762, 4537764, 4537767, 4537776, 4537789, 4537810, 4537814, 4537820, 4537821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
 
 
 5. Microsoft Office 관련 소프트웨어 보안 업데이트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실행 취약점(CVE-2020-0759) - 스푸핑 취약점(CVE-2020-0695) - 보안 기능 우회 취약점(CVE-2020-0696) - 변조 취약점(CVE-2020-0697) 
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
 o 중요도 : 중요 
 o 관련 KB번호 - 4484156, 4484156, 4484156, 4484163, 4484163, 4484250, 4484250, 4484254, 4484256, 4484256, 4484265, 4484265, 4484265, 4484267, 4484267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
 
 
 6. Microsoft SharePoint 관련 소프트웨어 보안 업데이트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발생하는 스푸핑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스푸핑 취약점(CVE-2020-0693, CVE-2020-0694) 
 o 영향 : 스푸핑 
 o 중요도 : 중요 
 o 관련 KB번호 - 4484255, 4484259, 4484264, 4484255, 4484264, 4484259 
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
 
 7. Microsoft Exchange Server 보안 업데이트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(CVE-2020-0688) - 권한 상승 취약점(CVE-2020-0692) 
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
 o 중요도 : 중요 
 o 관련 KB번호 - 4536987, 4536988, 4536989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
 
 8. Microsoft SQL Server 보안 업데이트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(CVE-2020-0618) 
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
 o 중요도 : 중요 
 o 관련 KB번호 - 4532095, 4532097, 4532098, 4535288, 4535706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
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,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(CVE-2020-0710, CVE-2020-0711, CVE-2020-0712, CVE-2020-0713, CVE-2020-0767) 
 o 영향 : 원격코드실행 
 o 중요도 : 긴급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
 
 10.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발생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ADV200003) 
 o 영향 : 권한상승 
 o 중요도 : 중요 
 o 관련 KB번호 - 4537759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
 
 11. Windows 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 보안 업데이트 
 □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발생하는 권한상승 취약점 
 o 관련취약점 : - 권한상승 취약점(CVE-2020-0733) 
 o 영향 : 권한상승 
 o 중요도 : 중요 
 o 관련 KB번호 - 891716 
 □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 | 







	

